본문 바로가기

제비꽃333

제비꽃밭 안산 서울제비꽃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 풀 서울지역에서 주로 나는 제비꽃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관악산 일대에 자생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현재는 분포지가 강원, 충북지방, 경북 및 경남 지역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 서울제비꽃과 털제비꽃의 구별 서울제비꽃 털제비꽃 옆꽃잎 안쪽의 털 털이 다소 있음(없기도 함) 털이 많음 꽃뿔(거)와 씨방의 털 털이 없음 털이 있음 잎의 모양 삼각상 난형/긴타원형 난형 잎(뒷면) 및 화경의 색깔 전체적으로 녹색 갈색에서 녹색으로 변함 열매의 털 표면에 털이 없음 표면에 털이 많음 2021. 3. 28.
남산제비꽃(창덕궁) 2021. 3. 27.
왜제비꽃(창덕궁) 2021. 3. 27.
서울제비꽃(예봉산) 2021. 3. 25.
왜제비꽃 2021. 3. 22.
둥근털제비꽃(수리산) 2021. 3. 22.
울릉제비꽃 울릉제비꽃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식물분류학회지 제42권3호(2012년 9월) 논문 : 제비꽃속(제비꽃과)의 신종 :울릉제비꽃(Viola ulleungdoensis M. Kim & J. Lee) 초록 : 울릉도에서 제비꽃속의 신종인 울릉제비꽃(Viola ulleungdoensis M. Kim & J. Lee)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분자생물학적인 결과는 울릉제비꽃이 근연종들과 구별되는 신종임을 지지해 주었다.울릉제비꽃은 무경종이고 측화판 기부에 털이 없으며 엽병과 화경에 털이 없어 뫼제비꽃과 유사하다.그러나 울릉제비꽃은 부정아가 없고 개화후 잎이 커지며 식물체가 크고 저지대에 자라는 반면에 뫼제비꽃은 부정아가 있고 개화후 잎이 커지지 않으며 식물체가 작고 고지대에서 자라 두 종이 뚜렷하게 차.. 2021. 2. 1.
우산제비꽃 우산제비꽃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이 식물은 울릉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남산제비꽃과 뫼제비꽃간의 교잡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보고있다. 2021. 1. 31.
반가워라 가을 제비꽃 봄의 산성에서 15~6종의 다양한 제비꽃을 만날 수 있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보기 드문 제비꽃이 일조시간이 비슷한 가을에도 여기저기 풀밭에 피었다 반가운 마음에 몇장 찍어본 제비꽃... 2020.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