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과 답사557

운곡암 석조관음보살상 얼레지로 유명한 화야산 입구 마을은 삼화1리인데 예로부터 절이 있다하여 절골 또는 큰골(大谷)로 불리었다.그 절골에는 옛부터 유명한 불당인 운곡암(耘谷庵,雲谷庵)이 있다.고려의 유신 운곡 원천석이 제자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고 태조가 되자 낙향하여 이곳 화야산에 숨어 살았다고 하는데, 태조가 은사인 운곡을 등용하고자 화야산으로 모시러 찾아 왔으나, 운곡은 미리 알고 치악산으로 떠난 후였다고 한다. 태조는 이곳에 암자를 지어 운곡암이라 하고 은사의 충절을 간직하도록 하였다고 한다.(가평문화원 자료) 2025.4.3. 화야산  조선 태조와 고려유신 원천석의 유래가 전해지는 운곡암이지만 625전쟁때 불타고 현재는 볼만한 불당이 보이지 않으나 규모가 큰 석조관음보살상만이 지나는 길손의 눈에 띈다.  화야산으로 꽃.. 2025. 4. 12.
昌慶宮 春色 昌慶宮 春色 2025.4.2. 2025. 4. 8.
창덕궁 홍매 창덕궁 홍매 2025.4.2. 2025. 4. 6.
봉은사 홍매 봉은사 홍매 2025.3.27. 2025. 4. 5.
일어서자 초인상 일어서자 초인상(서울,황금알을 품다)서울 공공미술 프로젝트인 도시갤러리는 시민들의 희망에 불을 밝히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했다,그 사업의 일환인 "서울시와 함께 일어서자!"프로젝트는 "희망의 힘"을 상징적으로 그리는 시민참여 프로젝트였다.우리 전통문화는 간절한 소망을 돌에 담아왔으며.돌에 소원을 빌거나 소망의 돌탑을 쌓았다.그런 전통을 추억하며 "서울시와 함께 일어서자!" 프로젝트는 시민들의 꿈과 소망을 모으고 쌓아올렸다.시민들이 직접 소망을 적은 돌이 하나하나 쌓이고 태그가 매달리면서 힘들게 짐을 들고 있는 앙상한 골조와 망에 불과했던 인체상은 난관을 초극하고 황금알을 품고있는 초인상이 되었다초인상는 바로 우리의 현재 모습이며,지금 우리 사회의 초상이기도 하다.어려움 가운데 희망을 함께 꿈꾸고 만들고 이.. 2024. 12. 23.
서울숲 풍경 서울숲 풍경 2024.11.2. 서울숲 2024. 12. 4.
순명비 유강원 석물 순명비 유강원 석물 2024.11.13. 어린이대공원 2024. 12. 3.
고궁 나들이 한복을 입은 관람객에게 입장료 면제 아이디어는 누가 냈는지, 그리 나쁘지는 않다.고궁에 가보면 어설픈 한복 차림의 관람객이 매우 많은데 멀리서 보면 아름답다,갓끈을 고쳐매 주는 남녀에게 오후 햇살이 따뜻하게 비추며 긴 그림자를 드리운다.그런데 제발, 임금과 중전의 의상을 입고 배낭을 맨 모습만은 못 봐 주겠다. 2024. 11. 28.
향원정 향원정 2024.11.18. 경복궁 2024.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