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이 되면 김승희
육십이 되면 나는 떠나리라
정든 땅 정든 집을 그대로 두고
장농과 식기와 냄비들을 그대로 두고
육십이 되면 나는 떠나리라 갠지스 강가로딸아, 안녕히,
그동안 난 너를 예배처럼 섬겼으니,
남편이여,그대도 안녕,
그동안 그렸던 희비의 쌍곡선을 모두 잊어주게,
축하한다는 것은 용서한다는 것,
그대의 축하를 받으며
난 이승의 가장 먼 뱃길에 오르리
생명의 일을 모두 마친 사람들이
갠지스 강가에 누워
태양의 괴멸작용을 기다린다는 곳,
환시 인듯, 허공중에 만다라화가 꽃피며,
성스러운 재와 오줌이 혼합된
더러운 갠지스 물을 마시며
이승의 정죄와 저승의 빛을 구한다는
더러운 순결의 나라로
해골의 분말이 물위에 둥둥 뜨면
해와 달과 별이 그려진
거대한 수레바퀴가 반짝반짝 혼령을 실어 나르고
미쳐도 오직 신령으로 미친 사람들이
죽음의 천궁도를 들여다 보며
환생을 근심하는 찬란한 강가
난 그 강가로 가리
힌두의 장법대로 붉은천 하나 몸에 두르고
어느날 햇빛아래 문득 쓰러지면
힌두의 승려들이 나를 태워 주겠지
저승돈 삼십냥을 빈손에 들고
나는 끝으로 말하리라
부디 사리를 채취하지 말아 주게
마치 모닥불위에 장미꽃잎을 얹은 것처럼
그리고 그불은 아름답겠지
해골의 분말이 그 강위에 뿌려지면
난 저승으로 가지않고 이곳으로 오리
한강이 되어 섬진강이 되어
광주 어귀의 극락강이 되어
어머니의 나라 딸의 나라 내 원죄의 나라로
육십이 되면 그러나 나는 떠나리라
성회와 식수가 뒤섞인 그 이상한 나라
뼈 한점 한점 마다 환각의 약초가 피어나고
슬픔이 완전 소독되고 임종의 오줌 안에서
뱀이 불 같은 머리를 트는 그곳으로
죽음마저 차마 예술이 되는
끝없는 끝의 그 먼 나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