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탐사/화악산 102

난쟁이바위솔 난쟁이바위솔 돌나물과 난쟁이바위솔속의 여러해살이 풀 난쟁이바위솔은 키가 작은 바위솔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2017. 8. 21.
쥐털이슬 쥐털이슬 바늘꽃과 털이슬속의 여러해살이 풀 털이슬 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체로 털이 있는 열매의 모양이 이슬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짐작되고 있다. '쥐털이슬'은 전초나 꽃의 모양 등이 쥐를 연상시키거나 전초가 쥐처럼 작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짐작된다 2017. 8. 21.
금강초롱꽃 금강초롱꽃 초롱꽃과 금강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 풀 초롱꽃과 닮았고 최초로 발견된 곳이 금강산이어서 금강초롱꽃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경기도 이북의 높은 산에 드물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며,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으로 분류하고 있다 귀한 금강초롱꽃이 그 아름다움을 눈부시게 뽐내고 있다 먼 옛날, 금강산 깊은 산골에 부모 없는 오누이가 살았는데. 어느 날 누나가 병에 걸리자 남동생은 약초를 찾아 산으로 떠났다. 밤 늦게까지 돌아오지 않는 동생을 기다리던 누나는 초롱불을 들고 길을 나섰다가 산중턱에 쓰러지고 말았다. 약을 구해 돌아오던 동생은 숨을 거둔 누나를 발견하였고, 누나 옆에는 초롱불이 한 송이 꽃이 돼 피어 있었다고 한다 금강산 오누이의 슬픈 전설을 간직한 금강초롱꽃. 경기도 가평 북쪽의 그늘진 산속에서.. 2017. 8. 20.
만삼 초롱꽃과 더덕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한자어 蔓蔘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덩굴을 이루는 삼이란 뜻이다 삼 만큼의 약효가 있는데 덩굴성이란 뜻이며 그 뿌리를 만삼이라 하여 약용한다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 취약종으로 분류하는 귀한 식물이다 (2017.8.18. 화악산) 2017. 8. 20.
닻꽃 용담과 닻꽃속의 한두해살이풀로 꽃 모양이 배가 정박할 때 사용하는 닻을 닮았다 하여 닻꽃이 되었다 경기 북부와 강원 일부 산에만 분포하며 북방계 식물이라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고 자생지 훼손 등으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이다 작년보다 며칠 빨리 갔기에 매우 싱싱한 꽃을 보게 되었고 개체수도 충분하게 자생하는 것으로 보인다(2017.8.19.) 2017. 8. 20.
등칡 등칡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속의 낙엽 활엽성 만경목 등나무와 같이 덩굴성 식물이고 칡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속명 Aristolochia은 희랍어 aristos(가장 좋은)와 lochia(출산)의 합성어로서 꼬부라진 꽃의 형태를 태아의 모양과 같이 생각하고 굵어진 밑부분을 자궁에 비유하여 해산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명으로 큰쥐방울, 긴쥐방울, 칡향 등이 있다.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2017.5.21.경기 가평) 2017. 5. 23.
초여름 화악산 등칡 보려고 간 화악산, 공군부대로 이어지는 군용도로가 지그재그로 잘 나 있지만...이중 삼중의 차량 통제용 차단기가 가로 막는다, 공군총장님 보다도 빠른 군번을 가진 예비역이지만 차단기에 번호키만 매달려 있으니 아무 소용이 없다, 초가을이 오면 금강초롱이 필 터이고 저 꼭대기까지 안 올라갈 수도 없는데... 어쩔 수 없이 터벅터벅 두세시간을 걸어서 꽃 찾아 올라가야 하려나 보다 산 아래는 다 졌을 산철쭉이 이제사 핀다 도깨비부채 등칡 바위떡풀 눈빛승마 쥐오줌풀 2016. 5. 30.
도깨비부채 도깨비부채 범의귀과 도깨비부채속의 여러해살이 풀 잎의 끝이 갈라진 모습이 마치 도깨비가 사용하는 부채의 느낌이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속명 Rodgersia는 미해군사관 John Rodgers이 식물채집에 공헌한 것으로 기리기 위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종소명 podophylla는 '잎자루가 있는 잎의'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중부 이북의 심산지역에 분포하며,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6. 5. 30.
등칡 등칡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속의 낙엽 활엽성 만경목 등나무와 같이 덩굴성 식물이고 칡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속명 Aristolochia은 희랍어 aristos(가장 좋은)와 lochia(출산)의 합성어로서 꼬부라진 꽃의 형태를 태아의 모양과 같이 생각하고 굵어진 밑부분을 자궁에 비유하여 해산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명으로 큰쥐방울, 긴쥐방울, 칡향 등이 있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2016.5.19.) 숲속의 색소폰 연주자 등칡이 보고 싶던 차에... 어쩐 일로 아내가 오빠부부와 함께 용문산에 가자고 하길래,얼른 "용문산 보다 화악산이 어떠하냐"고 역제안을 했다 순전히 등칡을 보고자하는 내 욕심에 의해서 그 산으로 향했다, 작년에 그리 많던 등칡들이 대부분 숲.. 2016.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