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398 섭지코지 갯쑥부쟁이 갯쑥부쟁이 국화과 참취속 두해살이 풀 해안가(갯)에서 자라는 쑥부쟁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속명 Aster는 희랍어로서 별을 뜻하는데 방사상으로 생긴 꽃의 모양이 별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섭지코지 해안을 하얗게 수놓은 갯쑥부쟁이 별을 상징한다는 아스타(Aster) 지난 밤 수 많은 별들이 내려 앉아 쑥부쟁이로 피었나 보다... 2018. 11. 12. 문주란 문주란 수선화과 문주란속의 여러해살이 풀 문주란은 한자어 文珠蘭에서 유래하였는데, '文'는 무늬 또는 아름다움이라는 뜻이 있고 '珠'는 구슬을 의미하므로 구슬 무늬가 있는 난초 또는 아름다운 구슬이 있는 난초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여진다. 남미 원산으로 제주도 제주시에 분포한다.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8. 11. 12. 도깨비쇠고비 도깨비쇠고비면마과 쇠고비속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도깨비를 닮은 쇠고비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제주도와 울릉도 중부지방의 해안가 돌틈에서 자란다 2018. 11. 12. 일출을 기다리는 시간... 2018. 11. 12. 덩이괭이밥 덩이괭이밥 괭이밥과 괭이밥속의 여러해살이 풀 괭이밥과에 속하면서 덩이줄기로 번식한다고 하여 덩이괭이밥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남아메리카 원산의 원예용으로 도입되었으나, 현재는 야생화되고 있다. ※ 자주괭이밥과 덩이괭이밥의 구분( 박수현,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덩이괭이밥 자주괭이밥 꽃의 중심부의 색깔 붉은색을 띰 녹색을 띰 꽃밥의 색깔 노란색 또는 황적색 흰색 꽃의 갯수(꽃자루당) 많음(3~25개) 적음(5~7개) 뿌리의 모양 덩이줄기가 있음 인편으로 되어 있음 2018. 11. 11. 갯금불초 갯금불초국화과 갯금불초속의 여러해살이풀 바닷가(갯가)에서 자라는 금불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제주도 서귀포시에 분포하며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8. 11. 10. 긴꽃며느리밥풀 긴꽃며느리밥풀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한해살이 반기생성식물 화통이 길고 꽃며느리밥풀을 닮은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2008년 소매물도에서 최초 발견되었으며 최근 거제도에서도 발견되었다. 화통이 길기 때문에 주로 박각시 종류에 의해 수정이 매개된다 2018. 11. 10. 금징어 눈 부신 아침 햇살을 받으며 오징어가 금색으로 빛나고 있다 그래서 금징어이기도 하지만, 요즘 오징어가 잘 잡히지 않아 값이 너무 비싸 금징어로도 불린다 향기롭게 꼬들꼬들 말라가는 금징어 저걸 보고 맛있겠다 침 흘리기 보다는 보기 좋으니 꽃처럼 그냥 두고 보고 싶다 2018. 11. 9. 형제섬 일출 형제섬 일출 촬영은 실패인 듯 하다 해 뜨기 전은 추웠고 두꺼운 구름층 위로 해가 솟아 올랐다 이런 날도 있고 저런 날도 있지... 그래도 새벽공기는 상쾌했고 아침바다는 아름다웠다 2018. 11. 9.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