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異山 泉隱寺라고 쓴 일주문의 편액 글씨에 주목해 보시기 바란다처음에 이 절의 이름은 감로사(甘露寺)였을만큼 물 맛 좋은 샘이 있었나보다, 후에 절을 중수할 무렵 샘가에 큰 구렁이가 자주 나타나 사람들을 무서워하자 한 스님이 용기를 내어 죽였는데, 그 후로는 샘에서 물이 솟지 않았다. 그래서 ‘샘이 숨었다’는 뜻으로 천은사라는 이름이 붙였다고 한다.
절 이름을 바꾸고 가람은 크게 중창 했지만 절에 여러차례 화재가 발생하여,사람들은 입을 모아 절의 수기(水氣)를 지켜주던 이무기가 죽은 탓이라 하였다.
얼마 뒤 조선 4대 명필의 한 사람인 원교 이광사(李匡師, 1705~1777)가 절에 들렀다가 이런 이야기를 듣고, 마치 물이 흘러 떨어질 듯 한 필체(水體)로 "지리산 천은사"라는 글씨를 써 주면서 이 글씨를 현판으로 일주문에 걸면 다시는 화재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 하였다. 그대로 따랐더니 신기하게도 그 후로는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전한다 <2011.11.1>
일주문을 지나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 위로 다리가 놓여 있는데 이 다리를 피안교라 부른다. 이쪽은 온갖 번뇌에 휩싸여 생사윤회하는 고해의 언덕이고 다리 건너편은
고통과 근심이 없는 불·보살의 세계다. 따라서 피안교란 열반의 언덕에 도달하기 위해 건너는 다리를 뜻하는 것이다.
우리들이 사찰에 갈 때, 절 입구의 피안교를 무심히 건너는 게 아니다. 마음을 청정하게 씻고 이제 다리를 건너면 진리와 광명이 충만한 불법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천은사에는 그 다리 위에 2층 누각인 수홍루가 있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수홍루는 계곡과 어우러져서 천은사를 대표하는 경치라고 할 만큼 아릅답다. 정면 현판의 글씨는 염제(念齊) 선생의 글씨라 한다
수홍루 아래를 흘러간 물은 사찰 아래의 큰 저수지에 이르는데 가을 가믐으로 수량이 많이 줄어 들었다 주변의 단풍과 함께 푸은 물빛이 아름답게 반짝이고 있다
천왕문과 보제루 사이에 은행나무 고목 한 그루... 단풍이 곱기도 하다
청죽 대숲이 푸르기도 하지, 벼슬도 재물도 풀잎의 이슬일세...댓잎 흔들고 가는 바람소리에 수행자는 옷깃을 여미고 마음을 가다듬는다
보제루 맞은 편에는 극락보전이 보인다. 極樂寶殿은 서방정토의 교주이며 중생들의 왕생극락을 인도하시는 아미타부처님과 그 협시보살들을 모신 법당이다.
사찰에 따라서 미타전, 아미타전, 무량수전, 수광전이라고도 하는데 천은사는 대웅전 대신 극락보전이 사찰의 주된 전각이라 하겠다. 극락보전은1774년 혜암선사가 중수하면서 세운 전각으로 조선 중기 이후의 전통적 양식을 충실히 따른 아담하면서도 장엄한 느낌의 건축물이다.
극락보전 뒤로 팔상전이 보이고 오른쪽이 명부전이다,극락보전 안에는 불단의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관음, 대세지보살이 협시한 삼존불상이 있고 그 뒤에 보물 제924호인 유명한 아미타후불탱화가 봉안되어 있는데, 감히 법당 내부를 찍을 용기는 나지 않는다
명부전 뒤로 선원으로 들어가는 작은 문이 나오는데,그 경치가 참 아름답다,문을 들어서면 천은사를 흐르는 계류가 본당과 선원을 가로 지르고 있고 그 위에 운수교가 놓여 있다. 이곳은 스님들의 참선수행처이어서 일반인들은 일체 출입할 수 없는 곳이다.
극락보전 뒤로 계단을 올라가면 여러 전각 중 가운데 있는 전각이 관세음보살을 모신 관음전인데, 사찰에 따라서는 원통전, 대비전, 보타전 등으로 부른다고 한다.그 뒤쪽으로 삼성전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