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과 식물294 잠자리난초 잠자리난초난초과 해오라비난초속 여러해살이풀 꽃의 모양이 잠자리를 닮았다하여 유래된 이름이다.제주도 포함 전국에 분포한다. *유사종과의 동정 포인트 잠자리난초 : 거가 길게 앞으로 늘어져 있고 앞으로 살짝 휘고 옆꽃받침잎이 옆으로 펼쳐져 있다. 개잠자리난초 : 거가 짧고 뒤로 살짝 들려 있으며 옆꽃받침잎이 뒤로 제껴져 있다, 민잠자리난초 : 거의 좌우측열편에 톱니모양의 거치가 없다 2021. 1. 26. 구름제비란 구름제비란 난초과 제비난초속 여러해살이풀 구름이 머무는 심산(고산)에서나는 제비난초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아래 잎모양이 산제비란에 비해 더 둥근 타원형인 특징 외엔 산제비란과 구분이 되지 않는다 2021. 1. 24. 나도씨눈란 나도씨눈란 난초과 씨눈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씨눈난초와 유사하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조금 빨리 찾아온 듯 이제 피기 시작이다 2020. 7. 15. 대흥란 대흥란 난초과 보춘화속의 여러해살이 부생식물 첫발견지인 해남군 대흥사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잎은 없으며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으로 홍자색을 띠며 2~6개의 꽃이 성글게 달리고 포는 막질로 길이 5~10mm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조각은 거꿀달걀모양으로 길이 2cm, 나비 3~4mm이고 끝이 까락같이 뾰족하다. 꽃잎은 장 타원형으로 꽃받침보다 짧다. 순판은 쐐기모양으로 길이 약 15mm이고 가볍게 뒤로 젖혀지며 중앙 하부가 약간 잘록하고 2개의 도드라진 능선이 있으며 끝은 잔 물결모양이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이며,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20. 7. 13. 나나벌이난초 나나벌이난초난초과 나리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 꽃 모양이 나나니벌과 유사하고 꽃가루받이의 매개자로 나나니벌을 이용하므로 나나벌이난초라고 불리운다, 옥잠난초와 비슷한데,옥잠난초보다 소형이고 입술꽃잎의 끝이 꼬리처럼 뾰족한 것으로 옥잠난초와 구별된다 2020. 7. 9. 병아리난초 병아리난초난초과 병아리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병아리를 닮은 난초라는 뜻 또는 병아리처럼 예쁘거나 귀여운 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2020.7.1.) 2020. 7. 8. 타래난초 타래난초 난초과 타래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이 타래와 같이 나선상으로 꼬이면서 피기 때문에 타래난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2020. 7. 7. 로젯사철란 로젯사철란 난초과 사철란속의 여러해살이 풀 애기사철란을 닮았으나 잎이 로제트형으로 자란다고 하여 로젯사철란이 되었으며,이명으로 한국사철란이 있다. 북한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1997년에 한국사철란(Goodyera coreana S. Kim)으로 '한국의 난초'에 기재되었는데, 이후 2004년에 이영노 박사에 의해 로젯사철란(Goodyera rosulacea Y.Lee)으로 정식 발표된 바가 있다. 2020. 7. 5. 청닭의난초 청닭의난초 난초과 닭의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이 연한 녹색인 닭의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 구분 포인트 : 청닭의난초는 닭의난초와는 달리 연한 녹색꽃이 피며, 강원 일부지역에서만 자생하고 있는 희귀종이다. 유사한 종으로는 임계청닭의난초와 갯청닭의난초가 있으며, 임계청닭의난초는 꽃의 순판이 세모져 있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갯청닭의난초는 바닷가 모래가 많은 소나무 지역에서 자생하며 화색이 황록색이다. 2020. 7. 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