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과 식물294

광릉요강꽃 2020. 5. 15.
보춘화 2020. 4. 16.
해오라비난초 해오라비난초 난초과 해오라비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흰꽃이 해오라비(새, 정명은 해오라기)를 연상시키는데서 유래되었다 몇몇 장소에서만 극소수 개체들이 생육하고 있는데 무차별 채취로 절멸 위기에 직면해 2012.5 환경부 멸종위기식물 2급에 지정되었으며 국립식물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9. 9. 1.
나도씨눈란 나도씨눈란 난초과 씨눈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씨눈난초와 유사하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여러해 째 보아온 나도씨눈란이고, 개화기는 올해 가장 적기인 듯 한데... 마침 장마철이라서 비가 쏟아지는 관계로 사진은 영 시원찮다 2019. 7. 26.
대흥란 대흥란 난초과 보춘화속의 여러해살이 부생식물첫발견지인 해남군 대흥사의 지명에서 유래한다잎은 없으며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으로 홍자색을 띠며 2~6개의 꽃이 성글게 달리고 포는 막질로 길이 5~10mm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조각은 거꿀달걀모양으로 길이 2cm, 나비 3~4mm이고 끝이 까락같이 뾰족하다. 꽃잎은 장 타원형으로 꽃받침보다 짧다. 순판은 쐐기모양으로 길이 약 15mm이고 가볍게 뒤로 젖혀지며 중앙 하부가 약간 잘록하고 2개의 도드라진 능선이 있으며 끝은 잔 물결모양이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이며,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9. 7. 23.
청닭의난초 청닭의난초 난초과 닭의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이 연한 녹색인 닭의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 구분 포인트 : 청닭의난초는 닭의난초와는 달리 연한 녹색꽃이 피며, 강원 일부지역에서만 자생하고 있는 희귀종이다. 유사한 종으로는 임계청닭의난초와 갯청닭의난초가 있으며, 임계청닭의난초는 꽃의 순판이 세모져 있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갯청닭의난초는 바닷가 모래가 많은 소나무 지역에서 자생하며 화색이 황록색이다. 2019. 7. 17.
타래난초 타래난초 난초과 타래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이 타래와 같이 나선상으로 꼬이면서 피기 때문에 타래난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2019. 7. 12.
옥잠난초 2019. 7. 12.
병아리난초 병아리난초난초과 병아리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병아리를 닮은 난초라는 뜻 또는 병아리처럼 예쁘거나 귀여운 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2019.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