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탐사/석병산 113

루드베키아 루드베키아속명의 Rudbekia는 17-18세기 식물학자인 스웨덴 Rudbeck 부자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으로 약 25-30종의 원종이 있다. 노란 꽃잎에 붉은 색이 돌며, 노란색 코스모스보다 키는 작으며 꽃이 훨씬 크고 잎이나 줄기모양도 많이 다르다. 배추밭과 감자밭이 끝나는 마지막 석병산 등산로 입구에 루드베키아가 곱게도 피었다 아마도 예전에는 밭이었을 곳이 지금은 잡초만 무성한데, 어디서 날아온지 모를 외국꽃이 곱다 일년생 초화로 요즈음 화단에 많이 심는데 씨앗이 떨어져 또 나고 꽃 피고 이어나가겠다 2018. 8. 20.
두메고들빼기 두메고들빼기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두해살이 풀 두메(심산)에서 자라는 고들빼기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잎자루의 기부가 줄기를 현저히 감싸는 것에 유의 2018. 8. 19.
여로 여로 백합과 여로속 여러해살이 풀 여로는 한자어 여로(藜蘆)에 유래된 말인데, '여로'(藜蘆)는 명아주 또는 검은색 식물을 의미하는 려(藜)에 갈대를 의미하는 로(蘆)가 합쳐진 말로써, 갈대같이 생긴 줄기가 검은색의 껍질에 싸여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 긴잎여로와 여로의 구별[이남숙,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여로속)",] 긴잎여로 여로 잎의 길이/넓이의 비율 9 이상 3 미만 화피편의 털 털이 없음 털이 밀생(잎뒷면 포함) ※ 여로와 참여로의 구별 : 참여로는 꽃이 촘촘히 달리고 여로는 꽃이 성글게 달린다. 2018. 8. 19.
등대시호 등대시호 미나리과 시호속의 여러해살이 풀 등대시호는 바닷가에 있는 등대를 닮은 시호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8. 8. 14.
개시호 개시호 미나리과 시호속의 여러해살이 풀 개시호는 시호와 비슷하지만 시호보다 못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시호와 개시호의 구별 : (i) 개체의 크기 : 시호는 40~70cm에 달하는 반면 개시호는 40∼150cm 정도로 개시호가 더 크게 자란다. (ii) 잎의 모양 : 시호는 줄기에 붙어서 나오는 반면 개시호는 잎이 원줄기를 감싸고 있다. (iii) 개화시기 : 시호가 8~9월에 피는 반면 개시호는 7~8월에 피므로 개시호의 개화시기가 빠르다, (iv) 생육장소 : 시호는 산과 들에서 자라나 개시호는 깊은 산에서 주로 자란다 2018. 8. 14.
시호 시호 미나리과 시호속의 여러해살이 풀 '시호(柴胡)'는 땔감(섶)을 의미하는 柴와 풀을 의미하는 胡가 합쳐진 말로 땔감으로 쓰이는 풀이 약재로 사용된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짐작된다. 한편, 시호의 유래와 관련하여 胡성을 가진 이가 땔감으로 쓰던 풀로 발열에 효과를 보았다고 하여 자신의 성을 따서 이름을 붙였다는 이야기도 있는 모양이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8. 8. 14.
사창분취 사창분취 국화과 취나물속의 여러해살이 풀 강원도 사창리에 나는 취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강원도 이북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 사창분취의 동정포인트(Nature 기준) : 꽃의 총포는 6줄로 배열되며, 근생엽이 크며 엽병에 날개가 있고, 줄기에 거미줄 같은 털이 밀생한다. 2018. 8. 14.
당분취 당분취 국화과 취나물속의 여러해살이 풀 당(唐) 즉, 중국에서 유래한 분취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 당분취의 동정포인트 : 당분취의 총포는 5~6줄이고, 잎은 난상 삼각형으로 톱니와 엽병이 있으며, 줄기는 능선과 더불어 넓은 날개가 있다. 2018. 8. 14.
자병취 자병취 자병취 강원도 자병산에 나는 취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한국(강원도 자병산, 육백산, 석개재)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이다. ※ 자병취의 동정포인트 : 자병취는 취나물속 종류 중 가장 짧은 화관의 길을 가지고 있으며, 폭이 좁은 총포를 가지고, 긴 타원형의 잎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다른 취나물속과 구별된다 ※ 산골취와의 구별 : 산골취는 자병취와 유사하지만, 북한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총포편의 끝이 자병취와 같이 뒤로 휘어지지 않고 엽병이 없는 것에서 자병취와 구별된다 2018.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