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탐사695 개회향 개회향미나리과 기름당귀속 여러해살이풀 회향과 유사하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동해안 석회암지대와 제주도 고산지대에 자생지가 있으며 전국에 10곳 미만의 자생지와 개체수도 많지않고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산도 정상부의 접근하기 어려운 암벽에 자라고 있다 2019. 8. 14. 쥐털이슬 쥐털이슬 바늘꽃과 털이슬속의 여러해살이 풀 '털이슬'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체로 털이 있는 열매의 모양이 이슬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짐작되고 있다. '쥐털이슬'은 전초나 꽃의 모양 등이 쥐를 연상시키거나 전초가 쥐처럼 작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짐작된다, 심산의 음습지에 자생한다 2019. 8. 13. 털이슬 털이슬바늘꽃과 털이슬속의 여러해살이풀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의 음지에서 자란다. 높이 40~60cm 정도로서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며 전체에 굽는 잔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마주나는 잎은 길이 1~4cm 정도의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길이 2~10cm, 너비 2~3cm 정도의 넓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8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피는 꽃은 흰색이다. 대가 있는 열매는 길이 3~4mm 정도의 넓은 도란형으로 4개의 홈이 있고 끝이 굽은 털이 밀생한다. 2019. 8. 13. 말털이슬 말털이슬바늘꽃과 털이슬속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습기 있는 곳에 자라며 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를 치며, 높이 30-60cm, 구부러진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좁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5-10cm, 폭 2-3cm, 끝은 점차 좁아져서 뾰족하고,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다. 잎 가장자리는 도드라진 짧은 톱니와 잔털이 성글게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통은 난형, 꽃잎은 도란형으로 끝 부분이 2갈래로 갈라져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2019. 8. 13. 쇠털이슬 쇠털이슬바늘꽃과 털이슬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또는 비스듬히 서는데 마디 사이의 밑 부분이 약간 굵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전체에 보드라운 잔털이 나 있다. 쇠털이슬은 유사종인 털이슬보다 꽃이 일찍 피며 털이슬에 비해 전체적으로 털이 많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7~12cm, 나비 5~8cm의 달걀을 닮은 심장형 또는 넓은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심장 밑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얕은 톱니가 있다. 잎의 양면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3~10cm로 길며 퍼진 털이 짧게 나 있다. 7~8월에 흰 꽃이 총상 꽃차례로 달려 피는데 꽃차례에 샘털이 촘촘히 나 있다. 꽃차례의 길이는 7~15cm이다. 양성화로 꽃받침 조각은 2개이고 꽃잎과 수술도 각각 2개씩이다. 꽃잎은 2개로.. 2019. 8. 13. 가는대나물 가는대나물 석죽과 대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대나물에 비하여 잎이 가늘다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 가는잎대나물,두메마디나물로도 불리며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석회암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데 최근 석회석광산 개발로 인하여 급격히 자생지가 줄어들고 있다(2019.8.6.석병산) 2019. 8. 13. 산해박 산해박박주가리과 백미꽃속 여러해살이풀 산해박은 산에 나는 ‘해박’이라는 뜻인데, 解縛의 뜻은 "끈이나 오라 따위로 결박한 것을 풀어준다"는 의미로 백미꽃속 식물의 해독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단지 일부 지방에서는 박주가리를 해박이라고 한다는데, 그렇다면 산에 나는 박주가리를 의미한다. 예로부터 널리 사용해온 약용식물이며 이른 시간에 꽃이 지기 때문에 꽃을 보기가 쉽지않다 2019. 7. 17. 잔개자리 잔개자리 콩과 개자리속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의 들판에 자란다. 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는데, 가지는 땅에 눕거나 위를 향해 자라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의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턱잎은 긴 난형이다. 꽃은 5-7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 끝 부분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피침형, 열매는 협과, 콩팥 모양, 90° 정도 말리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2019. 7. 17. 외대으아리 2019. 7. 17.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