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탐사695

꽃쥐손이 꽃쥐손이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쥐손이풀과 식물 중에 가장 예쁘게 꽃을 피우므로 꽃쥐손이가 된 것으로 추정되며, 잎,줄기 꽃에 하얀 솜털이 많으므로 털쥐손이라고도 부른다 2019. 7. 8.
아마풀 아마풀팥꽃나무과 아마풀속의 한해살이풀 한반도 중부 이북의 산록에 드물게 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30c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짧고, 선형, 길이 5-15mm이다. 양 면에 털이 있고, 긑이 날카로우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자줏빛이 돌고, 길이 4mm, 가지끝에 총상으로 달린다. 열매는 난형, 길이 4.5mm, 회백색이며 끝에 부리 모양으로 꽃받침이 달린다. 씨는 난형, 끝이 날카롭고, 검은색이다.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9. 7. 3.
두메갈퀴 두메갈퀴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의 그늘진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며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거의 곧게 자라며, 높이 10-20cm, 네모지며, 보통 3-5개의 마디가 있고 털은 없다. 잎은 줄기의 아래에서는 마주나고 위에서는 4장씩 돌려나며, 그 중에 2장은 작다. 잎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1-3cm, 폭 1-1.8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위를 향한 짧고 굳은 털이 있으며, 1개의 잎맥이 뚜렷하다. 꽃은 6-7월에 줄기 끝이나 줄기 윗부분 잎겨드랑이에서 성글게 달린다. 화관은 4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분과, 둥글고, 2개씩 붙으며, 겉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다. 우리나라 북부지방, 강원도, 제주도에 자생한다. 2019. 7. 3.
나도수정초 나도수정초노루발과 나도수정초속의 여러해살이 부생식물 수정초(수정란풀)과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빽빽이 나며 퇴화하여 비늘조각모양이고 좁은 장 타원형 또는 좁은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1~2cm, 나비 5~8mm이며 끝은 둔하거나 둥글고 약간 육질이다.꽃은 7~8월에 은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가 달리며 통상 종형으로 밑을 향하나 열매때에는 곧추서고 길이 약 2cm이며, 꽃받침조각은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5개이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9. 7. 3.
광대수염 2019. 6. 20.
자주솜대 자주솜대 백합과 솜대속의 여러해살이 풀 자주색 꽃이 피는 솜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라는데, 꽃이 자주색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자료에 보니 처음에는 황색이었다가 점점 자주색으로 변한다고 한다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멸종위기식물 2급이었었는데, 많은 새로운 개체군이 최근에 보고되고 있어 2011.6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에서 해제되었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9. 6. 20.
용둥굴레 용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풀 용둥굴레는 다른 둥굴레에 비해 꽃이 월등히 크기 때문에 용둥굴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 포에 싸인 꽃이 용을 연상시킨다 하여 용둥굴레가 되었다고도 한다 2019. 6. 19.
퉁둥굴레 퉁둥굴레 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 풀 둥굴레에 비하여 줄기가 퉁퉁한 원주형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연한 순과 뿌리를 식용으로 한다. 根莖(근경)을 玉竹(옥죽)이라 하며 약용한다. 2019. 6. 19.
인가목 인가목장미과 장미속의 낙엽활엽관목 인가목은 유래가 알려져 있지 않으며 한자로는 人伽木 또는 人架木으로 표기되는 것이 일부 확인된다 지리산과 강원 이북 지방에 분포하며 알기 쉽게 들장미라고 불러도 좋겠다 붉은 인가목과 흰인가목이 있는데 이 사진의 인가목은 붉은인가목인 듯... 2019.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