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과 식물294 은대난초 2019. 5. 16. 은난초 2019. 5. 16. 새우난초 2019. 5. 16. 금난초 금난초 난초과 은대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황금색의 꽃이 핀다고 하여 금난초라는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 및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2019. 5. 16. 해오라비난초 해오라비난초 난초과 해오라비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흰꽃이 해오라비(새, 정명은 해오라기)를 연상시키는데서 유래되었다 몇몇 장소에서만 극소수 개체들이 생육하고 있는데 무차별 채취로 절멸 위기에 직면해 2012.5 환경부 멸종위기식물 2급에 지정되었으며 국립식물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8. 8. 23. 사철란 사철란 난초과 사철란속의 여러해살이 풀잎이 상록인 것에서 사철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 유사종 ▶ 사철란(G. schlechtendaliana R.): 높이 10-20cm, 잎은 난형, 흰색 무늬가 있다.▶ 붉은사철란(G. macrantha Max.): 관상 가치가 있으며 완도에서 자생한다. ▶ 섬사철란(G. maximowicziana Mak.): 제주도와 울릉도에 나며, 사철란과 닮았으나 털이 없고, 잎은 무늬가 없으며, 가장자리에 주름이 지고 길이 3cm이다. ▶ 애기사철란(G. repens R.Brown): 사철란과 닮은 작은 난으로 잎은 난형, 길이 1-2.5cm, 나비 7-18mm이다. ▶ 털사철란(G. velutina Max.): 사철란과 닮은 난으로 .. 2018. 8. 23.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난초과 구름병아리난초속 여러해살이풀 잎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구름병아리난초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2018. 8. 21. 구름병아리난초 구름병아리난초난초과 구름병아리난초속 여러해살이풀 구름이 머무는 고사지대에 사는 병아리난초를 닮은 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이며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 으로 지정되었다 2018. 8. 21. 구름제비란 구름제비란 난초과 제비난초속 여러해살이풀 구름이 머무는 심산(고산)에서나는 제비난초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아래 잎모양이 산제비란에 비해 더 둥근 타원형인 특징 외엔 산제비란과 구분이 되지 않는다 2018. 7. 17.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