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과 식물294 두잎약난초 두잎약난초난초과 약난초속 여러해살이풀 잎이 2장인 약난초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본과 한국의 제주도에 분포하며,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으로 분류하고 있다 약난초와 구별 : 약난초의 잎은 보통 1장이고 긴타원형에 길이 20~30cm,폭 4~8cm, 3맥이 뚜렸하다, 반면에 두잎약난초는 약난초와 닮았으나 잎이 2장이다 2018. 7. 12. 한라새우난초 한라새우난초(Calanthe discolor Lindl. var. bicolor Makino)난초과 새우난초속 여러해살이풀새우난초와 금새우난초의 자연교잡종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은 별도 식물로 분류하고 있지 아니하다 2018. 7. 11. 손바닥난초 손바닥난초난초과 구름병아리난초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의 모양이 손바닥을 연사아시킨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한라산, 백두산,중북부지역에 분포하며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8. 7. 11. 나도씨눈란 나도씨눈란 난초과 씨눈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씨눈난초와 유사하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해마다 늦게 보아서 지는 꽃만 보았는데 올해는 너무 빠른 듯 이제사 피기 시작한다 2018. 7. 9. 타래난초(2) 타래난초 찍은 게 하도 많아 선택 받지 못한 꽃들의 아우성이 극심해서 한 번 더 골라 보았음 2018. 7. 9. 타래난초(1) 타래난초 난초과 타래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이 타래와 같이 나선상으로 꼬이면서 피기 때문에 타래난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양지바른 풀밭에 자라기 때문에 주로 묘지에서 발견된다, 작년에 보았던 곳으로 가니,예상한 대로 많이도 피었다,풀밭에 엎드려... 여기 저기 귀여운 타래난초를 밀어도 보고 당겨도 보며 놀았다 2018. 7. 9. 청닭의난초 청닭의난초 난초과 닭의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이 연한 녹색인 닭의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 구분 포인트 : 청닭의난초는 닭의난초와는 달리 연한 녹색꽃이 피며, 강원 일부지역에서만 자생하고 있는 희귀종이다. 유사한 종으로는 임계청닭의난초와 갯청닭의난초가 있으며, 임계청닭의난초는 꽃의 순판이 세모져 있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갯청닭의난초는 바닷가 모래가 많은 소나무 지역에서 자생하며 화색이 황록색이다. 이 지역의 청닭의난초는 2년간 거의 개화를 하지 못할 정도로 미국선녀벌레의 피해가 극심하였다 올해는 어떤 원인인지는 알 수 없지만, 작년에 비해 피해가 적어 보여서 다행이다 2018. 7. 8. 병아리난초(흰색) 병아리난초난초과 병아리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병아리를 닮은 난초라는 뜻 또는 병아리처럼 예쁘거나 귀여운 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2018. 7. 2. 옥잠난초(퇴촌) 2018. 7. 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