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탐사/덕유산·가야산79

가야산잔대 가야산잔대 초롱꽃과 잔대속의 여러해살이 풀 가야산에서 나는 잔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가야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다.(2017.9.4.가야야산) ※ 구별포인트 : (i) 잎은 돌려나기(윤생)를 한다. (ii) 꽃받침은 피침형(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톱니가 없이 전연이다. (iii) 화서는 총상이다. (iv) 꽃부리(화관)은 종형(또는 갈때기형)이다. (v) 화반(disc)은 길이보다 폭이 넓거나 같다(이상태, "한국식물검색집", 아카데미서적> 2017. 9. 11.
가야산은분취 가야산은분취 국화과 취나물속의 여러해살이 풀 현재의 국명은 이창복(1969)에 의한 것이다. 가야산에서 최초로 채집되었고 은분취와 비슷하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뿌리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엽병이 길고 피침상 3각형 또는 난상 3각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6~8cm, 폭 2~4cm로서 표면은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에 솜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15cm이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고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6~7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꽃차례의 잎은 선형이다. 2017. 9. 11.
수리취 수리취 국화과 수리취속의 여러해살이 풀 수리취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꽃을 피울때 사람에게 상처를 줄 정도의 강한 가시를 가진 것이 맹금류인 수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짐작된다. 2017. 9. 11.
나도하수오 나도하수오 <Fallopia ciliinervis (Nakai) Hammer>마디풀과 닭의덩굴속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하수오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다른이름은 개하수오이다 전라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평안북도의 산지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2017.9.3.덕유산> ※ 하수오와 나도하수오의 .. 2017. 9. 9.
산오이풀 산오이풀 <2017.9.3.덕유산> 2017. 9. 9.
투구꽃 투구꽃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의 모습이 투구를 닮았다고 하여 투구꽃이라고 불리운다. 이명으로 선투구꽃, 개싹눈바꽃, 진돌쩌귀, 싹눈바꽃 등이 있다. 2017. 9. 9.
정영엉겅퀴 정영엉겅퀴 <Cirsium chanroenicum (L.) Nakai>국화과 엉겅퀴속의 여러해살이 풀 경북 정령산에 나는 엉겅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2017.9.3.덕유산> ※ 고려엉겅퀴와 정영엉겅퀴의 구별(이상태, "한국식물검색집", 아카데미서적, p371) 구별점 고려엉겅퀴 정영엉겅퀴 잎의 밑부분 예저.. 2017. 9. 9.
촛대승마 촛대승마 미나리아재비과 승마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대가 짧은 긴 총상화서를 촛대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2017. 9. 9.
현삼 현삼과 현삼속의 여러해살이 풀로 현삼속 식물도 종류가 여럿이다. 개현삼,토현삼,큰개현삼,좀현삼,섬현삼,몽울토현삼... 나는 현삼이라고 알아보는 것으로 족하다 2017.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