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탐사/태백산 198

만년석송 만년석송 석송과 석송속의 상록 여러해살이 풀(양치식물) 만년 삼나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인데, 상록성인 석송을 상록침엽수인 삼나무에 비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 일본, 북미에 분포한다.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및 북부지방의 고산에 분포한다. 이명으로 비늘석송으로 불린다 2018. 7. 11.
하늘말나리 하늘말나리백합과 백합속 여러해살이풀 말나리와 비슷하나 꽃이 하늘을 향해 피기 때문에 하늘말나리가 되었다 2018. 7. 10.
하늘나리 하늘나리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을 하늘을 향해 위로 보고 핀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2018. 7. 10.
꿩의다리아재비 꿩의다리아재비 매자나무과 꿩의다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 풀 꿩의다리속 식물과 유사하게 생겼다고 하여 꿩의다리아재비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2018. 6. 8.
2018 오월의 만항재 야생화 만항재(1330)에서 바라본 함백산 정상 나도제비란 큰두루미꽃 자주솜대 천남성 벌깨덩굴 나도옥잠화 금강애기나리 꿩의다리아재비 산철쭉 노루삼 쥐오줌풀 하늘말나리 족도리풀 퉁둥굴레 나도개감채 큰구슬붕이 유럽나도냉이 는쟁이냉이 2018. 6. 8.
퉁둥굴레 퉁둥굴레 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 풀 둥굴레에 비하여 줄기가 퉁퉁한 원주형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연한 순과 뿌리를 식용으로 한다. 根莖(근경)을 玉竹(옥죽)이라 하며 약용한다. 2018. 6. 1.
자주솜대 자주솜대 백합과 솜대속의 여러해살이 풀 자주색 꽃이 피는 솜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라는데, 꽃이 자주색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자료에 보니 처음에는 황색이었다가 점점 자주색으로 변한다고 한다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멸종위기식물 2급이었었는데, 많은 새로운 개체군이 최근에 보고되고 있어 2011.6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에서 해제되었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8. 6. 1.
큰두루미꽃 큰두루미꽃 백합과 두루미꽃속의 여러해살이 풀 잎 사이로 꽃대가 올라와 꽃을 피우는 모양이 마치 두루미와 같다고 하여 '두루미꽃'이라 불리우고, 두루미꽃에 비하여 잎과 식물의 개체가 크다고 하여 '큰두루미꽃'이라 불리운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8. 6. 1.
유럽나도냉이 유럽나도냉이 십자화과 나도냉이속의 여러해살이 풀 현재의 국명은 박수현(1993)에 의한 것이다. 냉이를 닮아 나도냉이란 이름이 붙은 종이 있으며, 유럽나도냉이는 나도냉이와 매우 유사한 종이라 원산지 이름을 붙여 유럽나도냉이라 한다.귀화식물인데 유채꽃 보다 더 곱다,(2018.5.19.만항재) 2018.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