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탐사/태백산 198 둥굴레 둥굴레 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 풀 둥굴은 둥글다는 의미의 원(圓)이라는 뜻으로, 둥굴레는 잎이 둥글고 꽃의 모양이 은방울꽃(은방울꽃을 꽃이 둥글다하여 옛적에는 둥굴래싹이라고 하였다고 한다)과 비슷한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견해와 맺는 열매의 모양이 둥근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견해가 있다. 아무래도 은방울꽃과는 꽃 모양이 같지 않는 것에 비추어 볼 때 열매의 모양 때문에 그리 이름 붙여 졌다는 견해가 더 설득력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2019. 6. 12. 용둥굴레 용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풀 용둥굴레는 다른 둥굴레에 비해 꽃이 월등히 크기 때문에 용둥굴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 포에 싸인 꽃이 용을 연상시킨다 하여 용둥굴레가 되었다고도 한다 용둥굴레와 퉁둥굴레 용둥굴레 퉁둥굴레 꽃의모양(수술 및 안쪽의 털) 성상모가 있음 돌기같은 긴털이 밀생함 포엽의 모양과 크기 난형~피침형,길이 1~3.5cm 선성 피침형,길이 0.6~1cm 포엽의 갯수 2개 3~7개 포엽의 맥 3~5개 1개 2019. 6. 12. 죽대(큰댓잎둥굴레) 죽대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적인 모습이 대나무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산지 숲 속이나 높은 지대의 풀밭에 자라며 뿌리줄기는 길게 옆으로 벋으며 흰색이다. 줄기는 위쪽이 비스듬하게 자라며, 높이 30-70cm이다. 잎은 7-14장이 2줄로 어긋나며, 타원형이다. 꽃은 5-7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3-4.5cm의 꽃대 끝에 1-2개씩 달리며, 끝이 녹색을 조금 띤 흰색이다. 꽃자루는 처음에 줄기에 붙어서 나오고, 후에도 밑으로 완전히 드리워지지 않는다. 화관은 통 모양으로 끝이 얕게 6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둥근 장과이며 검푸른 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꽃대가 길고 좌우로 번갈이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2019. 6. 12. 종둥굴레 종둥굴레<Polygonatum acuminatifolium Kom.>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풀 꽃이 종모양이라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산지 숲 속에 자라며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벋으며, 원주형, 지름 3-4mm이다. 줄기는 능각이 없으며, 높이 10-3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끝은 좁아지고 표면은 녹색, 맥 .. 2019. 6. 12. 퉁둥굴레 퉁둥굴레 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 풀 둥굴레에 비하여 줄기가 퉁퉁한 원주형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연한 순과 뿌리를 식용으로 한다. 根莖(근경)을 玉竹(옥죽)이라 하며 약용한다. 종둥굴레와 퉁둥굴레의 비교 종둥굴레 퉁둥굴레 식물체의 크기 왜소형(20~30cm) 대형(50~80cm) 잎의 갯수와 길이 4~5장 길이 7~9cm 6~9장 길이 8~16cm 포의 크기와 맥 포가 작고 맥 없음 포가 길고 맥이 1개 있음 2019. 6. 12. 당개지치 당개지치지치과 당개지치속 여러해살이풀 당개지치는 당(唐)+개치지로 이루어진 말인데, 지치는 지치를 나타내는 한자어 지초(芝草) 또는 자지(紫芝)에서 유래되었다. 식물명에 붙는 '개'는 기본종보다 못하다는 의미인데 개지치는 지치와 달리 염료로 사용하는 뿌리에 색소가 없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당'(唐)은 원산지를 의미하는 말로서 원산지가 중국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2019. 6. 12. 노루삼 노루삼 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의 여러해살이 풀 노루가 먹는 삼 또는 노루(특히 꼬리)를 닮았고 산삼 유사의 약효가 나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추정되고 있는 모양이다 2019. 6. 12. 두루미꽃 두루미꽃백합과 두루미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잎 사이로 꽃대가 올라와 꽃을 피우는 모양이 마치 두루미와 같다고 하여 '두루미꽃'이 되었다. 잎은 2개씩 달리며 엽병이 있고 삼각상 심장형이며 길이 2-5cm, 폭 1.5-4cm로서 뒷면 맥위에 돌기같은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의 세포는 주상(柱狀) 또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비스듬히 서기 때문에 톱니가 생긴다. 꽃은 6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상꽃차례는 원줄기의 연속으로서 길이 2-3cm이고 꽃이 20개 정도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3-8mm이고 가늘며 윗부분에 마디가 있다. 화피열편은 4개이고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mm정도로서 뒤로 젖혀져 수평으로 퍼지며 1맥이 있다. 수술은 4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2019. 6. 7. 금강애기나리 금강애기나리백합과 죽대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 풀채집지가 금강산 부근이고 애기나리를 닮았다고 하여 '금강애기나리'라 불리운다. 첫 채집지가 강원도 진부라고 하여 진부애기나리라고도 한다. 외형은 애기나리를 닮았지만 분류학적으로 애기나리속의 식물이 아니라, 죽대아재비속에 속하여 서로 다른 종으로 분류된다. 중국 / 한국(경기도 가평군, 포천시; 강원도 양구군, 양양군, 인제군,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전라북도 무주군; 경상남도 산청군)에 분포한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동정 포인트 : 주로 높은 산지에서 자라며, 꽃잎이 뒤로 젖혀져 있으며 자주빛 반점이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19. 6. 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