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탐사/태백산 198

두메갈퀴 두메갈퀴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의 그늘진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며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거의 곧게 자라며, 높이 10-20cm, 네모지며, 보통 3-5개의 마디가 있고 털은 없다. 잎은 줄기의 아래에서는 마주나고 위에서는 4장씩 돌려나며, 그 중에 2장은 작다. 잎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1-3cm, 폭 1-1.8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위를 향한 짧고 굳은 털이 있으며, 1개의 잎맥이 뚜렷하다. 꽃은 6-7월에 줄기 끝이나 줄기 윗부분 잎겨드랑이에서 성글게 달린다. 화관은 4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분과, 둥글고, 2개씩 붙으며, 겉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다. 우리나라 북부지방, 강원도, 제주도에 자생한다. 2019. 7. 3.
나도수정초 나도수정초노루발과 나도수정초속의 여러해살이 부생식물 수정초(수정란풀)과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빽빽이 나며 퇴화하여 비늘조각모양이고 좁은 장 타원형 또는 좁은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1~2cm, 나비 5~8mm이며 끝은 둔하거나 둥글고 약간 육질이다.꽃은 7~8월에 은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가 달리며 통상 종형으로 밑을 향하나 열매때에는 곧추서고 길이 약 2cm이며, 꽃받침조각은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5개이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9. 7. 3.
광대수염 2019. 6. 20.
자주솜대 자주솜대 백합과 솜대속의 여러해살이 풀 자주색 꽃이 피는 솜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라는데, 꽃이 자주색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자료에 보니 처음에는 황색이었다가 점점 자주색으로 변한다고 한다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멸종위기식물 2급이었었는데, 많은 새로운 개체군이 최근에 보고되고 있어 2011.6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에서 해제되었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9. 6. 20.
층층갈고리둥굴레 층층갈고리둥굴레 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 풀 잎이 윤생하여 층을 이루는 둥굴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층층둥굴레에 비해 잎 끝이 갈고리 같이 된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 층층둥굴레와 층층갈고리둥굴레의 구별 : 잎이 윤생하는 점에서는 동일함 층층둥굴레 층층갈고리둥굴레 꽃자루(화경) 길이 짧음(길이 2~5mm) 가늘고 김(길이 10~15mm) 잎 끝의 모양 말리지 않음 말림 자생여부 자생함(멸종위기 2급) 자생하지 않음(재배식물) 2019. 6. 13.
무늬둥굴레 무늬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풀 잎 가장자리에 흰무늬가 있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잎은 타원형이며, 줄기에 하나씩 어긋난다. 대나무 잎과 비슷하고, 끝에서는 비스듬히 아래로 처진다. 잎 끝과 주변에 옅은 무늬가 있고, 엽병은 없다.꽃은 줄기 밑 부분의 첫 잎과 둘째 잎 사이에는 피지 않고, 셋째부터 여덟째 잎 사이의 겨드랑이에 한두 개가 핀다. 빛깔은 흰색이며, 끝에서 둘째와 셋째 잎 사이에도 피지 않는다.줄기에는 6개의 각이 나 있다. 2019. 6. 13.
목포용둥굴레 목포용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풀 목포 유달산에 자라는 용둥굴레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전국에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2줄로 배열되며 좁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10㎝, 폭 2.5-4㎝로서 양끝이 좁으며 짧은 엽병이 있는 것도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다. 때로는 잎 뒷면에 유리조각같은 돌기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길이가 13㎜이며 암술이 수술보다 짧고 암술대가 씨방 길이의 2배 정도이다. 때로는 화경·포 뒷면에 유리조각같은 돌기가 있다. 회녹색이고 화경의 길이 1-2㎝로서 털이 없으며 끝에 2-3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꽃자루는 길이 2-4㎜이다. 2019. 6. 12.
안면용둥굴레 안면용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풀 안면도에서 최초 발견되어서 안면용둥굴레가 되었다.잎은 어긋나기하고 2줄로 배열되며 좁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10㎝, 폭 2.5-4㎝로서 양끝이 좁으며 짧은 엽병이 있는 것도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백녹색이고 길이 2.5㎝로서 털이 없다. 화경은 길이 1-2㎝로서 털이 없으며 꽃자루의 중·상부에 포가 달리고 포는 길이 1.5-3㎝, 폭 1-2.5㎝로서 안에 2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꽃자루는 길이 2-4㎜이다. 용둥굴레와 안면용둥굴레 용둥굴레 안면용둥굴레 포의 모양 난형 피침형 포의 위치 수화경의 기부에 부착 소화경의 중부 혹은 상부에 부착 용둥굴레/안면용둥굴레와 목포용둥.. 2019. 6. 12.
진황정 진황정백합과 둥굴레속의 여러해살이풀 진황정은 황정과 유사하다하여 유래된 이름이라 한다. 대잎둥굴레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둥굴레처럼 굵지만 마디 간격이 짧으며 옆으로 뻗으면서 자라는데 군데군데에서 줄기가 나온다. 줄기에 10여 개의 잎이 달리며 위쪽이 옆으로 비스듬히 기운다. 진황정은 둥굴레에 비해 잎이 댓잎피침형이고 줄기의 단면이 둥글며 뿌리줄기의 마디가 짧아 염주 모양으로 두툼한 점이 다르다. 뿌리줄기를 황정이라 하는데 특이한 냄새가 나며 약재로 사용한다 2019.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