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사진1995 북한산의 현호색 현호색(玄胡索) 요즈음 웬만한 산에 가면 너무 많아서... 아예 카메라를 들이 댈 생각도 하지 않는데, 북한산 백운산장 아래 쯤에 군락을 이루고 거의 꽃밭처럼 자라고 있어서, 그냥 지나칠 수가 없군요. 하나하나 보면 참 예쁘고 기이한 모양의 꽃인데, 색과 종류가 무척 다양한 것 같습니다 내 그림자는 너를 돌아다 보면 울컥, 목이 매이더라 잎이 지는 해 질녘 귀로에서는- 앉을 자리가 마땅치 않아 늘 서성거리는 서투른 서투른 나그네 "피곤하지않니?" "아아니 괜찮아-" 하지만 21번 합승과 4번 버스 안에서 너는 곧잘 조을고 있더라 철가신 네맥고모처럼 "스님 서울중되지 마이소" 그래 어서 어서 산으로 데려가야지 목이 가는 너를 돌아다보면 통곡이라도 하고 싶어 안스러운 안스러운 그림자야- 산중의 현호색 사진을.. 2010. 8. 6. 할미꽃의 노래 지나는 어느 노인이 알려주셔서, 성남시 상적동의 어느 무덤가에 핀 할미꽃들을 보았습니다 묘뜰은 물론이고 봉분에 높다랗게 피어난 할미꽃은 우리 어린시절에 보던 바로 그 꽃입니다 꽃밭이나 공원이 아니고 뒷산 무덤가에 핀 할미꽃을 보는 게 얼마 만인가? 삼십년도 넘었습니다... 여러 가지 색다른 할미꽃들도 예쁘지만, 어린시절에 보았던 그 뒷동산의 할미꽃이 보고 싶었습니다. 고향에 갈적마다 있음직한 산소 뜰을 살펴 봤지만,어찌 된 일인지 볼 수 없어 아쉬웠지요 예쁘기도 하지...저 진빨강 꽃잎에 노랑 꽃술... 살아 남아 있어 주어 참 고마워~ 아무도 없는 7~8기의 산소에서 꽃을 찍고 돌아서며 나도 모르게 "감사합니다" 목례를 올렸습니다 할미꽃의 노래 나는 죽어서 꽃이 되었나니 꽃중의 허리굽은 할미꽃이어라 먼.. 2010. 8. 6. 돌단풍 돌단풍 계곡의 물가 바위틈에 자라는 돌단풍이 이제는 웬만한 공원이나 정원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추위에도 강하고, 봄에 피는 하얀꽃이 제법 볼 만 하기 때문이지요, 친지의 방문을 마중하느라 오금 지하철역에 나갔다가 역 밖의 인공폭포 바위틈에 자라는 돌단풍들이 너무 예뻐서 한참을 들여다 보다 왔습니다 물과 바위가 있어야 조화가 이루어지는 돌단풍에게 인공폭포도 아주 잘 어울리지요~? 시원한 물소리를 들으며... 돌단풍은 잊었던 옛 조상들의 고향을 그리워 할까요~? 잎이 돋아나기를 못 기다리고, 연한 꽃대를 높이 올린 하얀꽃이 어쩐지 순결해 보여요 돌단풍...이름 그대로 돌틈에서 자라고 잎이 단풍잎처럼 생긴 꽃이죠 아직 붉으레한 빛이 가시지 않은 연한 잎과 꽃대...나름대로 참 예쁩니다 단풍잎 모양의.. 2010. 8. 6. 고은사 청노루귀 청노루귀 해마다 봄이면 노루귀를 보는 것이 야생화를 사랑하는 이들에게는 행복입니다. 서울 근교에서는 제법 높은 산의 상부까지 올라가야 볼 수 있는데, 의성 고은사 주변에는 산길 주변에 많네요. 노루귀는 흰색,분홍, 보라색꽃을 피우는데,보라색이 푸른빛을 띄어서 청노루귀라고 부르나 봅니다. 고은사로 가는 산에는 대부분 귀한 청노루귀이고 백노루귀는 어쩌다가 눈에 뜨입니다,조금 많은 사진을 골랐습니다 솜털이 뽀송뽀송한 긴 꽃대 끝에 꽃 한송이씩을 피워내기 위하여 춥고 긴 겨울을 견디었습니다 나는 그대의 해바라기...몸을 서로 의지한 채 애틋한 표정으로 바라 봅니다 앞서 간 분이 찍고 간 자리...이끼 이불을 곱게 깔았군요 언덕 위의 노루귀 가족....일행중 이쪽으로는 오는 분이 없어서 아마 저 혼자 보았을 듯... 2010. 8. 6. 꿩의 바람꽃 꿩의 바람꽃 꿩 잡으러 산에 간 날은 차츰 흐려져서 비가 올 예정이라는 예보가 있던 날이었습니다. 이 새하얀 꿩은...무척 까다로워서 따뜻한 햇살이 비치는 화사한 날이 아니면 꼭 다물어 버립니다 오후에 잠간 해가 들었을 때, 반쯤 피어난 꿩의 바람꽃들이 어찌나 새하얗고 상큼하던지 ...! 계곡의 바위 그늘에 핀 꿩의 바람꽃...청순해 보이는 하얀색이 눈 부십니다 위 사진의 왼편 바위근처 흐려진 꽃을 크로즈 업 해 보았습니다, 하얀 수술이 매우 많군요 조금 더 뒤쪽에서 본 모습...여러장의 저 흰 꽃잎은 실은 꽃잎이 아니고 꽃받침이랍니다 학명이 (Anemone raddeana)에서 보 듯...바람꽃들은 미나리아재비과 아네모네 속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속명 Anemone는 아네모네의 희랍명으로 '바람의 딸'이.. 2010. 8. 6. 산중 복수초 산중의 복수초 수목원에 가꾸어 놓은 복수초와 깊은 산속 계곡에 피어난 복수초는 역시 어딘가 좀 다르군요 수목원에서 보았던 복수초는 무성한 잎과 함께 한포기에서 여러송이의 꽃을 피워 올렸었는데, 산중 복수초는 잎이 아직 피지도 않은채 목을 길 게 빼고 한송이씩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그러나 꽃의 빛깔만큼은 유난히 더 노래서 나그네의 눈을 끌어 당깁니다. 아직 녹색이라고는 별로 없는데... 외롭게 횃불을 올렸네요. 어두운 바위그늘을 향해 크로즈 업...산중의 복수초 참 예쁘지요? 황금의 왕관을 쓰고 있습니다... 작은 풀꽃을 이렇게 바라 보려면 얼마나 낮은 자세로 엎어져야 될까 상상해 보세요.ㅎㅎ. 산중 복수초는 꽃대가 길 게 올라오고 잎이 피지 않은 채 꽃을 피우네요 야생화 찍는이들이 낙엽을 걷어서 빨개 벋.. 2010. 8. 6. 너도바람꽃이 피었네 너도바람꽃 3월의 대설에 연약하고 작은 풀꽃... 너도바람꽃이 상하지는 않았을까? 아니 오히려 눈이불을 포근히 덮고, 편안히 쉬고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대설이 내리기 전날, 작년에 보아 두었던 골짜기를 찾아 들어 갔을 때... 함부로 발을 내딛기가 미안할 정도로 어느새 너도바람꽃이 하얗게 피어나 있었습니다조심조심 발걸음하며 담아 온 이른봄의 꽃소식입니다 이끼가 자라는 바위틈에 3자매가 사이좋게 피었습니다 오늘 본 중에서 상한 꽃잎 하나 없이 나무랄 데 없이 아름다운 모델입니다, 각도를 조금 달리 해서... 아가씨도 예쁩니다....어두운 계곡의 바위그늘을 배경으로... 저도 좀 보아 주세요~~! 키재기를 합니다 바위틈에서 일찍도 깨어나 꽃 피웠고나~~우리는 애인사이... 풀꽃을 사랑하시는 분들, 빨리와 .. 2010. 8. 6. 섬노루귀 섬노루귀 울릉도 특산식물인 섬 노루귀를 반갑게 만났습니다. 자생지가 아닌 수목원 비옥한 터에서 자란 탓인지...꽃대가 건실하고 튼튼해 보입니다. 크고 둥근 잎 사이에서 긴 꽃대가 올라오고,3장의 잎이 받쳐주는 가운데 6장의 꽃잎이 수즙은 듯 앙징맞게 피어 있습니다, 그런데 가만 보니...아직 피어나는 중이라 그런지 대단한 털복숭이입니다 2010. 8. 6. 도봉산의 투구꽃 도봉산의 투구꽃 가을빛으로 물든 원도봉 계곡을 오르다가 망월사 아래 계곡에서 한무리의 보라색 꽃을 보았다. 멀리 등산로에서도 잘 보여서 계곡으로 내려갔더니 처음 보는 꽃이 한창 피고 있었다. 남들은 씨앗을 거두어 들일 10월에, 뭐하다가 이제서야 꽃을 피운는지....? 그리고 언제 씨앗을 여물려고...? 이꽃이 사진으로만 보았던 투구꽃일까? 짐작만 하며 카메라를 꺼냈다. 산행중이라 어두운 줌렌즈 하나만 달랑 가져온터에 아쉬운대로 찍을 수밖에 없다. 숲 그늘이 왜 그리 어두운지...셔터속도가 안나온다. 삼각대는 물론 없으니 느려서 선명하게 찍을 수가 없다.모처럼 산중에서 아름다운 우리 야생화를 만났으나 장비 미흡으로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없어 안타까웠다. 다시 사진을 꺼내보니 화질은 떨어지지만 투구꽃은 여.. 2010. 8. 6. 이전 1 ···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