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과 식물294

오늘은 슬픈 날 오늘은 슬픈 날, 제가 아는 산성의 마지막 넓은잎제비난초가 사라진 날이기 때문입니다 왼 쪽 사진은 2016.5.22. 힘차게 꽃대를 밀어 올리고 있는 모습이고 오른 쪽은 2016.5.31.무참하게 낫으로 베어져 쓰러진 모습입니다 2016.5.28.꽃이 얼마나 피었을 까? 궁굼해서 가 보았지요 막 나무 숲을 헤치고 넓은잎 제비난초의 보금자리로 가려는 데, 등산복 차림의 사람이 어른 거리는 걸 보았습니다 괜히 난초의 존재를 알리면 안 될 듯해서 멀치감치서 한참을 바라보며 서성거렸지요 그래도 가지를 않아 저는 그냥 다른 꽃을 보러 갔다가 오후에 다시 그곳으로 왔습니다 그런데 그 사람이 그 때까지 있었고 낫으로 풀을 베어내는 듯 보였는데...여러가지 생각이 순간 스쳐지나갔습니다 귀한 난초가 있으니 상하지 않게 .. 2016. 6. 3.
기다리는 마음으로 지난 겨울 추위를 이기고 잘 살아 남았으려나? 두근두근한 마음으로 작년에 보았던 그 풀섶을 찾아가 보았다, 오...건강하게 잎이 돋아나고 꽃대가 보이네, 아직은 많이 기다려야 할 듯...(2016.5.7.) 봄가믐에 잎이 조금 노래졌으나 꽃대는 튼튼하게 밀어 올렸다, 일주일 쯤 후면 아래부터 필 듯... 꽃 피지 않았어도 넓은 잎과 튼실한 꽃대 꽃몽오리들이 너무나 이쁘다(2016.5.22.) 6월 하순 쯤 피는 난초들도 잘 있을까? 작년에 돋아났던 자리의 난초들을 간곳 없고, 다른 곳에서 몇포기를 발견... 요건 빈약하지만 곧 필 듯 보이네 이제 돋아나는 난초도 있고... 2016. 5. 27.
복주머니란 깊은 산 속에서 외롭게 한 송이를 피워 올렸습니다 꽃이 그리 크고 탐스럽지도 못하고 잎 줄기도 어쩐지 조금 가녀립니다 그러나 지난번에 보았던 크고 탐스러운 일곱송이 복주머니란보다 저는 이 꽃 한 송이가 더 소중합니다 그 것은 제가 처음으로 본 자생 복주머니란이기 때문이지요 제발 굳세게 살아남아서 매년 복주머니를 보여다오 2016. 5. 23.
나도제비란 나도제비란 난초과 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자생란) 제비난초와 유사하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속명 Orchis는 그리스어 orchis(고환)에 유래하는 말로 덩이 뿌리의 모양이 둥근 것에서 나온 이름이다. 종소명 cyclochila는 '둥근 순판이 있는, 윤상(輪状) 순판의'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6. 5. 22.
자란 난초과 자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붉은 자주색 꽃이 피는 난초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전남과 제주도에 분포하며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6. 5. 21.
새우난초 새우난초 난초과 새우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뿌리에 새우 등처럼 생긴 마디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속명 Calanthe는 그리스어 calos(美)와 anthos(花)의 합성어로 아름다운 꽃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종명discolor는 '다른 색의'이라는 뜻으로 꽃과 꽃받침의 색깔이 다른 것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난초과의 식물들이 대개 그렇듯이 희귀종에 속하는 보호식물이다. 자생지는 제주도와 서해안 그리고 남해안일부이며, 꽃이 아름다워 남획이 우려되므로 보호되어야 한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6. 5. 21.
금난초 금난초 난초과 은대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황금색의 꽃이 핀다고 하여 금난초라는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 및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늦은 봄숲에 황금의 꽃을 기품있게 피워 올리는 금난초를 잘 찍어보고 싶어서 멀리 찾아갔건만...하필이면 봄비가 촉촉하게 뿌렸다,우산을 들고 이슬비 속에서 양말을 두번 갈아 신으며 찍었다ㅎㅎ...이다음에 만나면 정말 예쁘게 찍어 줘야지...(2016.5.10.충남 태안) 2016. 5. 21.
은난초 은난초...난초과 은대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은색꽃이 피는 난초라는 의미에서 은난초가 되었다. *은대난초와 구분 : 은대난초에 비해 키가 작은편이며 꽃을 감싸는 포엽이 꽃차례보다 짧은 점이 은대난초와 다른 차이점이다(2016.5.10.태안) 은난초와 은대난초의 비교...은대난초의 포엽은 꽃차례보다 긴 것을 볼 수 있다 2016. 5. 21.
민은난초 민은난초...난초과 은대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 현재의 국명은 이창숙 외 3인에 의한 것(2009)으로 민은난초란 이름의 유래는 은난초와 변이로 순판(입술꽃잎)에 볼록한 꿀샘(거)가 없다는 의미에서 "민"이 붙었다 2016.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