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과 식물294

털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란 난초과 복주머니란속의 여러해살이 풀 복주머니란을 닮았는데 복주머니란에 비하여 털이 많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속명 Cypripedium은 비너스(Cypris)와 슬리퍼모양의 신발(pedilon)의 합성어로 사랑의 여신의 신발과 같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종소명 guttatum은 '반점이 있는'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종아명 koreanum은 한국 특산식물임을 나타낸다.이명으로 애기작란화, 조선요강꽃, 털개불알꽃 등이 있다. 강원도 정선군, 태백시에 분포하며. 환경부는 2011.6 털복주머니란을 멸종위기식물 2급에서 1급으로 상향 조정하였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7. 5. 15.
광릉요강꽃 난초과 복주머니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광릉지역에서 발견되었고 꽃모양이 요강을 닮았다해서 광릉요강꽃이 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식물1급의 희귀식물이다 2017. 5. 12.
복주머니란 난초과 복주머니란속의 여러해살이풀...꽃모양이 주머니를 연상시킨다 하여 복주머니란이 되었으며 꽃의 모양을 빗대어 개불알꽃이라고도 부른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지정된 희귀식물이다 예전에는 흔했다는데 지금은 자생 복주머니란을 보기 쉽지 않다, 작년에 강원도.. 2017. 5. 12.
무슨 난초? 새로 발견한 난초...무사히 꽃을 피우기를...2017.4.29. 작년에 꽃 피우고 무사히 살아남은 제비난초 새싹 잎 모양이 난초로 보이는데 이름 모름...계속 관찰 해 보아야지 2017. 5. 7.
주름제비란 난초과 구름병아리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 울릉도에 자생하는 귀한 난초를 해마다 수목원에 가서 쉽게 본다 자생지에서 보는 감동은 없다해도 울릉도까지 가지 않고도 볼 수 있다는 게 감사한 일이다 4년째 2포기만 보이는데, 더이상 증식이 되지는 않는 모양이다 제비란을 닮았으나 잎에 주름이 많이진다고 해서 주름제비란이 되었다 2017. 5. 3.
사철란 사철란 난초과 사철란속의 여러해살이 풀잎이 상록인 것에서 사철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겨울에도 상록인 사철란의 씩씩한 잎을 반갑게 발견했는데, 꽃을 보려면 8월쯤 다시 와야 한다 ※ 유사종 (출처:네이처) ▶ 사철란(G. schlechtendaliana R.): 높이 10-20cm, 잎은 난형, 흰색 무늬가 있다.▶ 붉은사철란(G. macrantha Max.): 관상 가치가 있으며 완도에서 자생한다. ▶ 섬사철란(G. maximowicziana Mak.): 제주도와 울릉도에 나며, 사철란과 닮았으나 털이 없고, 잎은 무늬가 없으며, 가장자리에 주름이 지고 길이 3cm이다. ▶ 애기사철란(G. repens R.Brown): 사철란과 닮은 작은 난으로 잎은 난형, .. 2017. 5. 2.
풍선난초 풍선난초...난초과 풍선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이 난초의 순판이 풍선처럼 부풀은데서 유래하여 풍선난초가 되었다. 이 꽃을 촬영한 곳은 세계인들이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곳 중 첫번째로 꼽는다는 캐나다 밴프의 레이크루이스 주변이다 호수에서 미러레이크로 올라가는 트레일 길가에서 이 예쁜 난꽃을 마주친 것은 정말 행운이다, 일생에 여러번 가기 어려운 여행길에서 풍선난초를 만나다니...다시 보아도 정말 요염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과 함남 갑산지역에 자생한다고 하니 남쪽에서는 볼 수 없는 꽃이다 록키산 야생화 사진을 찾아보니 Fairy Slipper(요정의 스리퍼)란다, 과연 이름과 어울린다 2017. 3. 3.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 난초과 구름병아리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로 잎에 자줏빛 반점이 있는 구름병아리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8월이 개화기이니 꽃이 진 후 마른 꽃대만이라도 보았으면 했는데, 잎과 꽃대를 보았으니 다행... 몇 개체 안남았다고 하니 잘 살아남아서 내년에도 예쁜 꽃을 피워주기를... 이걸 찍는데도 지나가는 등산객 여인들이 자꾸만 무슨 난초이야고 물어댔다. 난초가 아니고 그냥 우리가 보려고 하는 풀이노라고 선의의 거짓말을 했지만, 불안한 마음이다(2016.9.24.) 실물을 보지는 못했지만 인터넷에서 구해온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 8월의 모습 2016. 10. 3.
나도씨눈란 나도씨눈란 난초과 씨눈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로 씨눈난초와 유사하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 씨눈난초와 나도씨눈란의 구별(이남숙, "한국의 난과 식물도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144) 씨눈난초 나도씨눈란 잎 3~5장/피침형 2~3장/긴타원형 곁꽃잎 꽃받침보다 짧음 꽃받침보다 김 입술꽃잎의 가운데 갈래 곁갈래보다 짧음 곁갈래보다 김 물매화 보러 가서 혹시나...하고 작년에 보았던 풀섶을 찾아보았더니, 거의 져가고 있었지만 그래도 꼿꼿하게 버티고 나도씨눈란이 기다리고 있었다, 안찾아 보았으면 서운했겠다.(2016.9.10.) 2016.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