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과 식물294

해오라비난초 해오라비난초 난초과 해오라비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흰꽃이 해오라비(새, 정명은 해오라기)를 연상시키는데서 유래되었다. 몇몇 장소에서만 극소수 개체들이 생육하고 있는데 무차별 채취로 절멸 위기에 직면해 2012.5 환경부 멸종위기식물 2급에 지정되었다. 국립식물원은 희귀식물 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6. 8. 16.
나도잠자리란 나도잠자리란...난초과 나도잠자리란속의 여러해살이풀 잠자리란을 닮았다 해서 지어진 이름인데, 꽃을 잘 구별하기도 어려울 만큼 작고 미미해서 잠자리를 닮았는지 모기를 닮았는지도 모르겠다, 넓고 큰 2장의 잎에 가냘픈 꽃대를 쭉 뽑아 올렸는데 전체적으로 그리 크지는 않고.습지에서 자란다 이렇게 무성하게 자라고 꽃몽오리가 많았던 나도잠자리란이 꼭 7일만에 다시 갔더니,꽃이 제대로 피지도 못하고 검게 말라붙고 시들어 버렸다,폭염 탓인지 병충해 때문인지 알 수 없지만, 아쉽기만 하다 (2016.7.6.) 2016. 7. 15.
닭의난초 난초과 닭의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활짝핀 꽃의 모습이 닭의 벼슬을 닮았다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그래 그런지 입술꽃잎의 붉은색이 눈길을 끈다, 중부 이남의 산골짜기 습지에 자라는데 내가 아는 자생지는 이곳 한 군데 뿐이고 아직은 잘 보호되고 있어서 참 다행이다,마침 장마철이라서 습지에 물이 차 등산화가 젖을 것 같았는데 예상이 적중했다 장화 대신에 양말을 벗고 준비해간 샌달을 신으니 딱 좋왔고, 대부분의 식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미국선녀벌레도 아직은 이 곳까지 들어오지 않은 듯 닭의난초는 건강하게 꽃 피우고 있다 (2016.7.6.) 2016. 7. 11.
병아리난초 병아리난초난초과 병아리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병아리를 닮은 난초라는 뜻 또는 병아리처럼 예쁘거나 귀여운 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2016.6.3.서울) 2016. 7. 3.
나나벌이난초 나나벌이난초 ...난초과 나리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 꽃 모양이 나나니벌과 유사하고 꽃가루받이의 매개자로 나나니벌을 이용하므로 나나벌이난초라고 불리운다, 옥잠난초와 비슷한데,옥잠난초보다 소형이고 입술꽃잎의 끝이 꼬리처럼 뾰족한 것으로 옥잠난초와 구별된다 2016. 7. 2.
타래난초 타래난초 난초과 타래난초속의 여러해살이 풀 꽃이 타래와 같이 나선상으로 꼬이면서 피기 때문에 타래난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양지바른 풀밭에 자라기 때문에 주로 묘지에서 발견된다, 작년에 보아 두었던 곳으로 가니, 예상한 대로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많이 피었다, 묘 주인님에게 인사를 하고...예쁜 모습을 담았다 2016. 6. 28.
청닭의난초 붉은색조의 꽃을 피우는 닭의난초에 비해 연한 녹색의 꽃을 피우는 닭의 난초라는 의미로 청닭의 난초가 되었다 글세, 녹색과 청색은 매우 다른데, 우리말의 푸르다는 표현은 매우 넓게 쓰이기 때문에 녹색을 푸를 청자를 붙여 이름 지은 듯 하다 산성의 청닭의난초가 제대로 꽃을 피우지 못한 게 작년 부터이다 잦은 봄비 덕에 5월까지는 싱싱하게 자라서 실한 꽃대를 올리던 것 들이 미국선녀벌레의 극심한 피해로 하얗게 가루를 뒤집어 쓴채 꽃몽오리들이 오그라 들어 제대로 꽃을 피운 게 거의 없다,오죽하면 농약이라도 뿌려주고 싶은 마음인데,온산이 선녀벌레로 오염되었으니 공동방제를 하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할 수도 없다,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으로 분류하고 있는 귀한 식물인데 안타깝다 2016. 6. 28.
옥잠난초 북한산 산행을 무척 많이 했지만, 난초를 만나기는 처음이다,하기는 등산로로 다녀서야 아무리 다녀도 만날 가능성은 적겠다 가믐으로 물이 마른 계곡 한켠에서 여러포기 자라고 꽃까지 핀 모습이 참 반가웠다,아무리 보아도 옥잠난초다. 2016. 6. 28.
로젯사철란 로젯사철란 난초과 사철란속의 여러해살이 풀 애기사철란을 닮았으나 잎이 로제트형으로 자란다고 하여 로젯사철란이 되었으며,이명으로 한국사철란이 있다.북한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1997년에 한국사철란(Goodyera coreana S. Kim)으로 '한국의 난초'에 기재되었는데, 이후 2004년에 이영노 박사에 의해 로젯사철란(Goodyera rosulacea Y.Lee)으로 정식 발표된 바가 있다. 손작가와 동행한 북한산 탐사에서 목표로 한 흰병아리난초는 만나지 못했으나, 로젯사철란은 많은 개체를 만났으니 반은 성공한 셈인데...무더운 날씨에 산을 헤메며 안경을 썼다 벘었다 하다가 그만 잃어버렸다,안경줄 하나 준비해야겠다 ㅎ (2016.6.23. 북한산) 2016. 6. 28.